옵션거래의 시초는 1630년대 네덜란드의 튤립 투기 붐이 일어나던 때부터 존재하게 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터키에서 전해 내려온 튤립의 재배가 유명하였고 많은 사람이 튤립 재배로 돈을 벌고 있었는데 작황에 따라 가격변동의 폭이 커짐에 따라 재배자들과 중개업자들은 안정적인 가격으로 거래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이때 옵션을 이용하게 되었는데, 튤립을 매입할 중개인들은 콜을 매입함으로써 일정 기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튤립을 매입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튤립 재배자는 풋을 매입함으로써 일정한 가격에 팔 수 있게 되었다. 영어로 옵션은 말 그대로 '선택권'이다. 옵션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일정한 기간 내에 사거나 팔 수 있는 선택권을 말한다. 먼저 옵션의 개념이다. 옵션이란 특정 대상물을 장래의 지정된 날 또는 그 이전에(사전에 정한) 일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옵션거래는 이러한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 또는 팔 수 있는 권리(풋옵션)를 사고파는 거래이다. 콜옵션을 매수한 사람은 해당 자산의 가격이 사전에 정한 가격보다 높게 시장에서 형성되는 경우 그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시장가격보다 낮은(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살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자산의 가격이 사전에 정한 가격보다 낮게 시장에서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권리를 행사해서 시장가격보다 높은(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옵션은 권리이지 의무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게 권리만 있고 의무가 없는 옵션을 매수하는 사람은 해당 옵션을 매도한 사람에게 일정한 대가(프리미엄)를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옵션매수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경우에만 그 권리를 행사하여 이익을 누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권리행사를 포기하는 선택권을 갖게 된다. 반면에 옵션매도자는 옵션매수자의 권리행사에 응해야 할 의무를 지는 대신 옵션매수자로부터 프리미엄을 수취한다. 그런데 옵션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하는 때는 옵션매도자에게 불리한 경우이고, 옵션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취한 프리미엄이 그대로 옵션매도자의 이익이 된다. 다음으로 옵션 관련 용어이다. 첫 번째는 기초자산이다. 기초자산이란 옵션거래의 대상이 되는 자산으로 우리나라 주가지수 옵션의 경우 기초자산은 코스피200이다. 두 번째로 행사가격이다. 행사가격은 옵션거래에서 기초자산에 대해 사전에 정한 매수가격(콜옵션의 경우) 또는 매도가격(풋옵션의 경우)이다. 행사가격은 옵션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하는 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가격으로 콜옵션매수자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 그 권리를 행사한다. 반면에 풋옵션 매수자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격 밑으로 하락했을 때 그 권리를 행사한다. 세 번째로 만기일이다. 옵션매수자는 자신에게 시장 상황이 유리한 경우에 권리를 행사하게 되는데 그 권리는 특정 시점에만 또는 일정 기간에만 행사가 가능하다. 즉,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특정 시점 또는 일정 기간의 마지막 날을 만기일이라고 한다. 만기일이 지나면 해당 옵션은 그 가치를 상실하게 되고 더 이상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 네 번째로 프리미엄 또는 옵션가격이다. 옵션매수자는 자신이 유리한 경우에 그 권리를 행사하여 이익을 누리지만 옵션매도자는 옵션매수자의 권리행사에 응해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 그런데 해당 옵션매수자가 이익을 누리게 되면 상대방인 옵션매도자는 손해를 보게 된다. 따라서 옵션매도자는 일방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부닥치게 되기 때문에 옵션매수자로부터 권리부여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프리미엄 또는 옵션가격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옵션의 분류이다. 옵션은 기본적으로 특정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과 팔 수 있는 권리인 풋옵션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권리행사 가능 시기에 따른 분류이다. 첫 번째로 유럽형 옵션이다. 유럽형 옵션은 거래 최종일(만료일)에만 권리행사가 가능한 옵션을 말하며 우리나라 주가지수 옵션은 유럽형 옵션이다. 두 번째로 미국형 옵션이다. 미국형 옵션은 거래 최종일(만료일)까지 기간 내 언제든 권리행사가 가능한 옵션이다. 미국형 옵션이 유럽형 옵션에 비해 유리하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프리미엄이 더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기초자산에 따른 분류이다. 첫 번째로 주식옵션이다. 주식옵션은 개별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한 옵션으로 금융옵션 중 가장 오래된 상품이다. 두 번째로 주가지수옵션이다. 주가지수옵션은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옵션으로 1983년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세 번째로 통화옵션이다. 통화옵션은 외국 통화를 기초자산으로 한 옵션으로 특정 외환을 미리 정한 환율로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한다. 네 번째로 금리옵션이다. 금리옵션은 국채, 회사채, CD 등의 채권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옵션을 말한다. 다섯 번째로 선물옵션이다. 선물옵션은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한 옵션이다. 선물 콜옵션을 행사하면 선물매수포지션이 생기고, 선물 풋옵션을 행사하면 선물매도포지션을 받게 된다. 다음으로 거래장소에 따른 분류이다. 첫 번째로 상장옵션이다. 상장옵션이란 선물계약처럼 거래조건이 표준화되어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옵션을 말한다. 두 번째로 장외옵션이다. 장외옵션은 거래소 이외의 장소에서 계약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다양한 거래조건으로 거래되는 옵션을 말한다.
'투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의 선물 및 옵션시장 (0) | 2022.12.01 |
---|---|
옵션2 (0) | 2022.11.29 |
위험의 종류 (0) | 2022.11.25 |
위험의 측정방법 (0) | 2022.11.23 |
투자설계 프로세스 4~6단계 (1) | 2022.11.21 |
댓글